KT전국민주동지회
인간다운 KT를 만드는 사람들
검색
검색
로그인
소식지/성명서
현장의 목소리
사진/동영상
언론
소개
이름
비밀번호
비주얼
텍스트
<BR> 민주노총, 6만명 새조합원 합류 ... 'KT탈퇴' 상처 치유<BR><BR>전국공무원노동조합(전공노)과 민주공무원노동조합(민공노), 법원공무원노동조합(법원노조)이 22일 세 노조의 통합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(민주노총) 가입을 결정함에 따라, 노-정 관계에 적지 않은 파장이 예상된다. 정부의 잇단 엄포와 사실상의 방해 행위에도 불구하고, 세 공무원노조가 민주노총을 상급단체로 선택하면서 민주노총은 케이티(KT)노조 등 산하 노조의 잇따른 탈퇴로 입은 상처를 치유할 계기를 마련했다. <P align="justify">■ 힘 얻은 민주노총 이날 3개 공무원노조의 가입 결정으로 민주노총은 공공부문에서 전국교직원노동조합과 통합공무원노조라는 ‘쌍두마차’를 거느리게 됐다. 전공노가 이미 민주노총에 가입돼 있긴 하지만, 단일 공무원노조로는 최대 규모인 통합공무원노조가 갖는 잠재역량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. 민주노총이 거는 기대도 크다. <P align="justify">통합공무원노조 준비위원회도 지난 21일 민주노총 가입을 추진하면서 “이명박 정권이 사회복지제도 등을 서민과 노동자를 위한 것이 아니라 자신들 편의대로 만들었다”며 “공무원노조의 민주노총 가입은 공공부문을 국민에게 돌려주기 위한 교두보를 만드는 일”이라고 밝힌 바 있다. 이명박 정부에 대한 투쟁을 선언한 민주노총에 힘을 보탤 것임을 분명히 한 셈이다. 한국노동연구원의 한 연구위원은 “민주노총이 공무원노조와 전교조, 지하철노조 등이 소속된 공공운수연맹을 모두 아우르며 공공부문을 대변하는 조직이 됐다”고 평가했다. <P align="justify">또 6만여명의 새 조합원을 받아들인 민주노총은 한국노동조합총연맹(한국노총)과도 대등한 규모를 갖추게 됐다. 통합공무원노조 쪽은 전남과 경북 등 지역의 독립 공무원노조들이 합류를 타진하고 있다고 밝혀, 민주노총의 조합원은 더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. 2008년 노동부 통계를 보면, 민주노총 조합원 수는 65만8000여명이지만, 최근 케이티노조 등의 탈퇴로 현재 조합원 수는 62만여명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. 한국노총의 조합원은 72만5000여명이다. <P align="justify">지금까지 관례에 비춰 보면, 규모가 큰 노총은 그만큼 정부가 구성하는 노동위원회나 최저임금위원회 등에 더 많은 근로자 위원을 참여시키고 공익위원을 선정하는 데에도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. 민주노총의 한 간부는 이번 투표 결과에 대해 “노동자 대중이 민주노총을 선택했고, 각종 정책에 더 큰 영향력을 가질 수 있게 될 것”이라고 밝혔다.............<BR> .<BR> .<BR> <한겨레></P>
링크 삽입/편집
닫기
대상 URL을 입력하세요
URL
링크 텍스트
새 탭에서 링크 열기
또는 기존의 컨텐츠에 링크하기
검색
지정된 검색어를 찾을 수 없습니다. 최근의 아이템을 보여줍니다.
아이템을 선택하려면 검색이나 상하 방향키를 사용하세요.
취소